산업경영공학40 산업공학의 성장과 변화 저번 글에 이어서 작성하겠습니다.3) 서비스공학의 부상 초기의 산업공학은 당연히 제조공정의 효율적 관리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산업공학의 기본 원리와 기법들이 제조업 이외의 분야에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산업공학의 범위는 크게 넓어지게 되었다. 그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분야가 바로 서비스 산업이다. 서비스공학(service engineering)이 관심을 끌기 시작한 초기에는, 주로 서비스시스템과 서비스 프로세스의 설계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서비스시스템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올리는 기법도 다양하게 개발되었다. 그러다가 그 범위와 영역이 점점 넓어지면서, 서비스전략과 서비스 마케팅에 대한 얘기도 포함되고,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과 비즈니스 모델의 설계 문제도 다루기 시작하였다. 오늘날의.. 2025. 2. 10. 산업공학 학제의 형성 및 성장과 변화 - 재고관리에 대한 연구 1915년 웨스팅하우스의 해리스(Harris)에 의해 제안된 경제적 주문량(Economic Order Quantity : EOQ) 모형은 오늘날에도 과학적 재고관리의 바탕이 되고 있다. 이 모형은 최소의 비용으로 최적의 주문량을 결정하는 기본 공식을 제시하였다. 특히, 경제적 주문량을 도출하는 과정에 미적분학을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큰 시선을 끌기도 하였다. 이 모형은 나중에 완충재고 개념을 포함하면서 다양한 재고관리 모형으로 확장되었다. - 학제의 형성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기법이 개발되고 사용되었지만, 이것들이 모여 하나의 학문 분야, 즉 학제가 되기 위해서는 그 문제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한군데로 모여야 한다. 즉, 전문가 집단의 조직적 활동이 필요한 것이다. .. 2025. 2. 9. 산업공학 학제의 배경 - 효율적 공장과 분업 개념의 등장 앞에서 말한 것처럼, 산업공학이라는 학제가 만들어진 것은 20세기 이후의 일이다. 그러나 그 씨앗은 18세기 말 영국에 세워진 근대적 공장의 생산관리에서 파종되었다. 이 시기에는 자본과 기계가 합쳐지면서 기존의 수공업 공장들이 대규모의 기계화 공장으로 전환되었다. 그러면서 생산공정의 관리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났다. 예를 들어, 산업혁명의 주역인 제임스 와트와 그의 사업 파트너였던 매튜 볼턴이 운영하였던 기계 제작소는 시대를 100년 정도나 앞선 '효율적인 공장'의 파격적 모습을 보여 주었다. 생산계획의 기본 원리, 공정관리의 효율화, 작업 방식의 표준화 등의 혁신적 활동들을 이미 전개하였다. 비슷한 시기(1776)에 애덤 스미스와 같은 경제학자들이 제시한 '노동의 분.. 2025. 2. 9. 산업공학의 기본 1) 산업공학의 정의와 배경 1. 산업 개념의 배경 산업공학은 모든 산업을 다루고 모든 산업에 이어져 있다. 기업이 있고 그 안에 인력이 있으며 하드웨어와 설비가 있고 소프트웨어가 정보가 있다면 어느 산업이건 모두 산업공학의 대상이 된다. 이러한 대답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산업공학을 영어로 Industrial Engineering(IE)이라고 부르는 역사적 배경부터 알아야 한다. 산업공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이 태동한 시기는 20세기 초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시기는 산업이라는 '큰' 개념과 기업이라는 '작은' 개념이 본격적으로 출현한 때이다. 이때는 산업혁명에 의한 기술혁신과 자본주의에 의한 시장경제가 만나면서 그야말로 새로운 세계가 열리기 시작한 시점이다. 개인이나 가족이 수작업으로 소량의.. 2025. 2. 8. 이전 1 ···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