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경영공학40

산업시스템의 구조와 분석 (2) 이전 글에 이어서 경제학적 정의에 대해 작성하겠습니다. - 경제학적 정의모든 재화는 일반적으로 가격이 내려가면 수요가 늘고 가격이 올라가면 수요가 준다. 어떤 재화 X에 대해 가격을 Px, 수요량을 Qx라고 하자. 특정 시점에서 그 재화의 가격이 Px일 때 그 가격에 대응하는 수요량이 Qx가 되는 것이다. 그러면 가격탄력성 nx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정의된다. nx=- (△Qx/Qx)/(△Px/Px) 이 식을 보면 분모는 가격의 변화율을 뜻하고 분자는 수요량의 변화율을 뜻한다. 따라서 분모의 가격 변화율과 분자의 수요량 변화율의 비율이 곧 가격탄력성이 된다. 그 값이 클수록 탄력성은 올라간다. 즉, 가격의 변화에 대해 수요량이 더 민감하게, 더 탄력적으로 반응하는 것이다. 여기서 앞에 음(-)의 부호가 .. 2025. 2. 20.
산업시스템의 구조와 분석 1. 산업의 정의와 분류 원래는 전문용어에 가깝지만, 요즘은 많은 사람들이 거의 생활 용어로 이해하고 있는 단어 중에 '거시적이다' 또는 '미시적이다'는 표현이 있다. 거시적이라는 말은 말 그대로 크고 넓다는 뜻이고 미시적이라는 말은 작고 좁다는 뜻이다. 망원경으로 태양계를 관찰하는 것이 거시적이라면 현미경으로 나노의 세계를 분석하는 것이 미시적이다. 경제학을 생각해 보면, 경제성장과 국민소득, 국가 재정, 실업과 인플레이션 등과 같이 국가 경제 전반에 관한 큰 문제를 다루는 분야를 거시경제학이라고 하고, 반면에 수요와 공급, 소비와 생산과 같이 개인이나 기업에 관한 작은 문제를 다루는 분야를 미시경제학이라고 한다.  본질적인 성격으로 본다면, 산업공학에서 주로 다루는 경영시스템은 미시적인 성격이 강하다.. 2025. 2. 19.
시스템 접근 1) 기본 개념 산업공학은 시스템 접근에 기반을 둔다. 시스템 관점에서 보면 산업공학이 다루는 모든 대상은 하나의 시스템이다. 특히, 기업의 경영 조직은 전형적인 시스템이다. 앞에서 설명한 시스템의 요소와 특성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 산업공학이 다루는 대상이 시스템이라면 산업공학의 접근방법도 시스템적일 수밖에 없다. 우선, 산업공학에서 다루는 시스템은 이익의 극대화나 비용의 최소화 같은 '목표'를 지향한다. 또 끊임없이 외부 '환경'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한다. 전체 조직은 생산, 마케팅, 재무, 회계, 인사, 연구개발, 정보시스템 등의 '하위시스템'으로 구성되고 하위시스템들은 서로 '상호작용' 한다. 또 경영조직은 '투입-변환-산출 및 피드백' 과정의 연속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마음대로 흘러가는 .. 2025. 2. 15.
시스템의 구조와 형태 1) 시스템의 구조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시스템은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입력을 받아들여 조직적인 변환을 통해 출력을 생산하는 구성 요소들의 집단이다. 그러나 하나의 집단이라고 하더라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규모, 모양, 구성이 다른 경우가 많다. 즉, 누가 어떤 목적으로 설계하고 분석하는가에 따라 시스템을 이해하는 내용과 관찰하는 시각이 달라지는 것이다. 이러한 차이가 생겨나는 이유는 여러 가지이다. 우선 첫째는 시스템의 계층 때문이다. 하나의 시스템은 여러 개의 하위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다. 즉, 상위와 하위가 연결되는 계층적 구조를 갖는 경우가 많다. 이때 계층의 폭과 깊이가 어느 정도냐에 따라 시스템의 구조가 달라진다. 둘째는 시스템 내부와 외부의 경계 때문이다. 시스템은 자신의 내부뿐 아니.. 2025. 2. 14.
산업공학적 시스템 접근과 모델 Chapter 2. 산업공학과 시스템 접근1. 시스템과 모델   1) 시스템의 정의 산업공학은 시스템이라는 용어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산업공학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시스템 마인드를 제대로 갖추어야 하고, 산업공학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려면 시스템 접근을 잘해야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시스템 마인드와 시스템 접근은 과연 무엇인가? 산업공학과 시스템 간의 관계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한다. 시스템(system)은 통합이나 전체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systema'에서 유래한 용어로,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서로 '상호 관계'를 가지면서 연결되는 '전체'를 뜻한다. 우리 주위에는 여러 요소가 모여 만들어진 집합이 무수히 존재한다. 그러나 이 모든 집합들이 모두 시스템이 되는 것은 아니다. 산업공학에서 말하.. 2025. 2. 10.
산업공학과 사회과학 이번 글에서는 산업공학과 사회과학에 대해 작성하겠습니다.  산업공학은 사회과학과 가장 가깝게 맞닿아 있는 공학이다. 특히, 경영학과 경제학은 산업공학은 유사한 주제와 관심을 공유하고 있다. 흔히 산업공학을 '공학 안의 경영학'으로, 산업공학과를 '공학 안의 경영대'라고 부르는 것도 그러한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같은 주제를 다룬다고 해도 공학과 사회과학은 접근 방향과 분석 방법이 다르므로 정체성의 혼란을 일으킬 염려는 없다. 하지만 산업공학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회과학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한 것은 분명하다.1) 공학과 사회과학의 분리 그렇다면 공학과 사회과학은 어떤 관계를 유지해 왔을까?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것처럼, 넓은 의미의 과학기술과 사회과학, 좁은 의미의 공학과 경영학은.. 2025. 2. 10.